최종학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PH.D.)
주요경력
연세솔루션상담센터 공동대표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객원교수
해결중심치료학회 감사
경기서부노인보호전문기관 운영위원장
오정주간노인보호센터 자문위원
서울중부아동보호전문기관 자문위원
화성시동탄아르딤복지관 자문위원
2020년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장 수상
2021년 교육부장관 표창장 수상
2022년 법무부장관 표창장 수상
前 해결중심치료학회 회장
前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아동가족상담센터장
前 아동성폭력상담센터 경기해바라기아동센터 운영위원
자격증
솔루션가족상담전문가(연세솔루션상담센터)
해결중심전문상담 슈퍼바이저(해결중심치료학회)
해결중심가족상담전문가 슈퍼바이저(해결중심치료학회)
내러티브상담사 1급(한국이야기치료학회)
부부가족상담 전문가 1급 (한국가족치료학회)
정신건강증진상담사 1급(학국정신건강상담사협의회)
아동트라우마전문상담 강사(사회서비스연구소한울)
유치원 2급 정교사(문교부)
저서
해결중심상담 슈퍼비전 사례집(공저), 서울: 학지사, 2017.
해결중심가족치료 사례집(공저), 학지사, 2006.
아동과 환경(공저). 서울:학지사, 2003.
부모학(공저). 서울:신정,2002.
역서
해결의 실마리(공역), 서울:학지사, 2019.
창의적으로 해결중심상담하기(공역), 서울:학지사, 2019.
해결중심 집단상담(공역), 서울:학지사, 2013.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오늘(공역), 서울:학지사, 2011.
연구보고서
아동학대 예방 및 대처 업무의 내실화 방안 연구. 서울: .교육개발원. 2023.
아동학대 예방 및 대처 요령 교육부문 가이드북. 서울: 교육부. 2021.
가정폭력 피해대상 유형별 치료 회복 프로그램 개발 1권. 서울:여성가족부, 2013.
가정폭력 피해대상 유형별 치료 회복 프로그램 개발 2권. 서울:여성가족부, 2013.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 실태조사. 서울:여성가족부, 2005.
가정폭력피해자 치유 프로그램. 서울:여성가족부, 2005.
가정폭력피해자 치유 프로그램 메뉴얼. 서울:여성가족부, 2005.
논문
원가족 분화수준이 자녀양육기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생애학회지, 12(2), 41-60, 2022.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을 둔 취업모의 해결중심사고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11(2), 23-39.2021.
성장기 부모화 경험과 해결중심사고가 사회초년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해결중심치료학회지, 7(1), 1-22. 2020.
중학생 자녀를 둔 중년기 어머니의 자기 이해를 통한 부모성장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생애학회지, 9(3), 73-94. 2019.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시설보호 여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조절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해결중심치료학회지, 6(1), 1-26. 2019.
뇌성마비자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해결중심사고와 가족탄력성의 영향. 해결중심치료학회지, 4(1), 1-22. 2017.
해결중심 사고척도(Solution-Focused Inventory: SFI)의 요인구조 분석. 해결중심치료학회지, 2(1), 1-19.2015
고등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 충동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23(1), 1-22.2015.
장애형제를 둔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가족건강성, 형제관계 태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4(2), 1-16.2014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충동성과 부모양육태도의 차이. 생애학회지,4(1), 1-17. 2014.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자존감, 양육효능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효과 연구: 취학전 발달장애아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2(1), 1-28. 2014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자기애, 공감능력,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4(6), 3911-3928. 2013
아동의 자아개념 및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1(3), 289-305. 2013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해결중심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생애학회지, 2(1), 55-70. 2012
중학생의 대인관계 성향, 또래 괴롭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불안과의 관계. 생애학회지, 2(1), 71-84. 2012
학교 부적응 아동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의 개발 및 평가.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2(1), 107-139. 2004.
저소득층 어린이집 교사와 유아 어머니간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교육 요구도 비교. 유아교육연구, 20(3), 23-46. 2000.